1. 유리(Glass)
타 피복재에 비해 투광 / 내구/ 보온성 등이 우수하나 유리 자체의 하중을 이겨낼 수 있는 골조와 마감재가 견고해야하며, 약간의 충격으로도 파손의 위험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4mm 판유리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현재 주문생산으로 비용과 재고부담으로 5mm 판유리를 많이 이용하는 추세입니다.
타 피복재에 비해 투광 / 내구/ 보온성 등이 우수하나 유리 자체의 하중을 이겨낼 수 있는 골조와 마감재가 견고해야하며, 약간의 충격으로도 파손의 위험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4mm 판유리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현재 주문생산으로 비용과 재고부담으로 5mm 판유리를 많이 이용하는 추세입니다.
필름을 2 ~ 3중으로 직조하여 표면을 특수 코팅 처리한 필름으로 내굿성이 강하여 오랜시간(8 ~ 10년) 사용가능합니다.
피복의 두께가 0.2 ~ 0.3mm로 보온력 우수와 연료비 절감에 효과적이며 특히, 직광이 아닌 산광으로 빛을 투과시켜 온실 내부의 빛을 골고루 분산 작물 수확량이 증가합니다.
가격이 저렴하여 농가에서 많이 설치가 되었으며, 광선 투과율이 높고 필름 표멘에 비산먼지가 적게 부착이 되며 필름끼리 서로 달라붙지 않기 때문에 취급이 편리한 반면에 보온성, 내구성이나 강도면에서 약하여 PVC / EVA 필름로 대체되는 추세입니다. (피복두께 0.05 ~ 0.15mm)
투명도나 강도 / 내후성 / 보온성이 우수하며 피복작업도 비교적 용이하나 비산먼지(봄철황사) 부착이 많고 필름끼리 잘 달라 붙으며, 제조과정에서 가소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첨가하여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물과의 친화성이 떨어져 결로(물방울)가 발생하므로 표면에 무적화 처리를 시켜야 합니다. 설치 시 주의사항으로 내한성이 약하여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피복을 할 경우 파손과 고정 마감때에도 파손의 우려가 있어 강하게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가급적 따뜻한 계절에 피복설치를 권장합니다. (피복두께 0.05 ~ 0.15mm)
초산비닐의 함량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며 결로(물방울)이 발생하지 않는 무적필름이기에 작물에 피해를 줄여주어 사용량이 증가하며, 보온력은 PE보다 크고 PVC보다 떨어집니다. 인열강도가 약하고 제품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습니다. (피복두께 0.05 ~ 0.15mm)